필자는 현재 맥북을 쓰고있으며 미리 말하지만 업데이트를 하지않아서 루비 젬파일 (GEMFILE)가 맞지않아 고생했다.
처음부터 업데이트를 할껄...
그리고 [리액트 네이티브를 다루는 기술] 이라는 책을 사서 공부하며 정리하는 글이다.
우선 터미널을 열고 이 명령어를 입력하고나서 터미널을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시면 됩니다.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9.3/install.sh | bash
그리고 다시 시작한 뒤 다시 터미널을 여시고
nvm install --lts
를 실행하여 Node.js의 lts버젼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Node.js와 npm의 버젼 확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node -v
$ npm -v
그리고 yarn을 사용할 것인데 npm과 같은 관리 도구 이지만 성능이 개선되고 npm보다 빠릅니다.
$ npm install --global yarn
이젠 안드로이드 개발을 위한 JDK를 다운 받아야합니다. 8버젼 이상이여야합니다.
맥을 사용하는 유저라면 Brew는 깔려있을거라고 생각하고 진행하겠습니다.
혹시나 깔려있지 않으시다면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brew를 설치하신 뒤
$ brew install --cask adoptopenjdk/openjdk/adoptopenjdk8
을 입력한 뒤에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 javac -version
확인해보면 1.8.0_201이 뜬다고 하는데 필자는 그렇지 않다.
이 버젼으로 다운이 되고 책의 5장까지 진행해본 결과 이상이 없다.
그리고 Wathman을 설치해주어야한다.
페이스북이 만든 모니터링 도구로, 맥 OS에서만 작동한다.
$ brew install watchman
간혹 가다가 설정에서 wathchman에게 접근 권한을 안줘서 오류가 날 수 있으니 확인하도록 합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해주자.
이건 그냥 설치하면 된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책에선 커스텀으로 하라고 하였는데 어째서인지 Android Virtual Device가 선택되지 않아
스탠다드로 설치했지만 별 문제 없다.
'코딩생활 > ReactNa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Native] 2-3 JSX 문법 (0) | 2023.03.08 |
---|---|
[React Native] 2-2 Props (0) | 2023.03.08 |
[React Native] 2-1 나만의 컴포넌트 만들기 (0) | 2023.03.08 |
1-3 [React Native] 프로젝트 살펴보기 (0) | 2023.03.07 |
1-2 ReactNative 작업환경 준비하기 (0) | 2023.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