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생활/ReactNative

1-2 ReactNative 작업환경 준비하기

by InfoJun 2023. 3. 7.
반응형

이제는 환경변수를 설정해주어야한다.

맥에선 $HOME/.zprofile 를 수정하는데 기본 셸이 zsh가 아닌 bash라면

$HOME/.bash_profile 또는 $HOME/.bashrc를 수정하면 된다.

$ nano $HOME/.zprofile

를 쳐서 들어간 후

export ANDROID_HOME=$HOME/Library/Android/sdk
export PATH=$PATH: $ANDROID_HOME/emulator
export PATH=$PATH: $ANDROID_HOME/tools
export PATH=$PATH: $ANDROID_HOME/tools/bin
export PATH=$PATH: $ANDROID_HOME/platform-tools

위 코드를 최 하단에 넣고 저장하면 된다. 

다 입력후 Ctrl + X , Y , Enter 순으로 입력하면 저장이 된다.


그리고 XCODE를 앱스토어에서 다운을 해준뒤

$ sudo gen install cocopods

CocoaPods를 설치해주면 된다.

 


$ npx react-native init LearnReactNative

입력하여 새로운 리액트 네이티브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자.

설치를 하였다면 실행하기 전 해당 폴더로 터미널을 열어서 진행해야 할 것이 있다.

$ cd ios
$ pod install

이 작업을 해주어야한다. 책에는 별 말이 없지만 필자는 오류가 날때마다 캐시를 지우고 이 작업을 반복하고있다.

그럼 대부분 해결이 되더라...

책에서는 ios/Podfile를 열고 use_flipper!()이 코드를 실리콘맥이라면 주석처리 하라는데

이젠 자동으로 되어있는거 같다. 하지않아도 된다.

$ yarn <ios, android>

ios나 android를 쓰면 Metro로 각 핸드폰 시뮬레이터가 작동 할 것이다.

오류가 날 수도 있는데 혹시 바로 되지 않는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Xcode를 한번씩 실행시킨 뒤 다시 해보도록 하자.

필자가 그랬다..

 

반응형

댓글